top of page

Critics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Alice in Wonderland) 혹은”광학적 현상 속의 유희”   김 정락(미술사학) 2005년 5월

 

  오랫동안 나는 작가 임정은과 그의 작품을 오해하고 있었다. 이유는 아마도 그의 내면세계에 대한 관심 없이 작품으로 나타난 현상만을 읽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내가 이런 오해가 그냥 지속되기를 한편으로 원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작가와 감상자인 나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불가해한 틈이 존속하는 한, 작품이 지시하는 의미통로를 따라가기보다는 그 속에서 나름의 행보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 때문일지도 모른다. 아래에 이어질 토막글은 나의 오해에서 비롯된 작품 감상이라고 할 수 있다.

 

   Image는 원래 상(象)을 의미하는 Imago라는 라틴어에서 유래했다. 여기서 상이란 질료적이고 물성을 가지고 있는 대상이 아니라 그것에 대한 허상이자 환영(illusion)이다. 사실상 예술은 상에 관계한 활동이다. 하지만 현대미술에 있어 이 허상에 대한 묵계는 그 실효성을 잃었고, 물질과 관념사이의 매개를 만들어주던 환영은 더 이상 그 당위성을 갖지 못한다. 그런데 작가는 여전히 그 환영과 환영이 만들어내는 현상에 몰두하고 있는 듯하다. 그리고 그의 환영은 빛에 의한 투영과 투사를 통해서, 모순적이지만, 본질적인 것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수많은 판들이 벽을 빛과 색의 잔치판으로 바꾼다. 투명한 유리 위에 그려진 반투명의 다양한 문양들이 계획되어진 구간을 차지하고, 같은 광원에서 떨어지는 빛의 줄기를 걸러서 색과 형을 지닌 그림자 코러스를 보여준다. 빛에 색을 입히는 방법과-이것은 고유색에 천착된 이전의 색채조형과는 구별 된다-그것으로 인해 만들어진 일회적 환영(Illusion)으로 전시장 벽을 채우며, 조명의 위치를 조절하여 투영된 상들의 이미지를 변형시키고, 그 상들과 그 상들을 만들어낸 유리판의 집합이 관객의 이동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하는 것까지 임정은의 작품(Alice in Wonderland)은 전적으로 이미지를 갖고 노는 것이다. 이 작업은 한편으로는 광학(Optic)에 접목된 듯 보이는 과학적 실험을 상상하게 만드는 것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것들을 영역 저편에 도사리는 어떤 신비주의(Mysticism)에 은밀히 관계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러나 이것은 종교적 성격의 관조라기보다는 천진한 유희성에서 나온 신비다. 이 유희성은 빛에 대한 과학적 태도가 나타나기 이전, 그 물리적 현상에 감성적으로 대응하던 시대의 것과 유사하지만, 좀 더 실질적으로는 어린아이의 그림자놀이에 가깝고, 그러한 놀이에서 발견되는 순수한 의식(儀式)과도 같다. 작가의 유희성은 그러나 단순한 놀이로 머물지 않고 한 걸음 더 나아간다. 그리고 바로 그곳에서 작가는 사물의 질서를 자의적으로 ‘재’정의한다

 

   다층으로 이루어진 거울 상자 속에서 새겨진 기하학 형태들은 더 명시적으로 공간과 질서에 대한 작가의 이미지 만들기를 보여준다. 빛의 투과와 그 결과로 나타난 다양한 잔영으로 인하여, 이 이미지들은 입체적인 허상이 된다. 이것들은 가변적이며 외부의 질서에 순응하는 듯 보이면서도 자체의 세계 속에서 완결성을 가진다. 임정은의 이미지 작업은 자연 상태의 사물의 질서가 아니라, 질서처럼 보여 지는 사물의 이미지이다. 이미지를 재구성하는 작가의 세계는 관습적인 시각이 갖고 있는 질서의 평형을 슬그머니 흔들어 놓는다. 그 속에서 약간의 현기증을 느낀다면, 우리는 이미 작가가 재구성해 놓은 이미지의 함정에 빠진 것이다.

                 “Alice in Wonderland or Pleasure in the Optical Phenomena”  Kim, Jungrak, Art Critic May 2005

 

   For a long time I have simply misunderstood Jeoungeun Lim’s art. This innocent ignorance comes from my habitual approach to only reading the superficial phenomena of an artwork without paying much attention to her inner world. But the biggest problem is my unconscious desire to continue this skin-deep understanding. As long as there was a certain perspective gap between the artist and the viewer, I believed that I could pave my own road instead of following the semantic path within her artwork. Ironically the

following interpretation starts from my misunderstanding and ignorance.

 

   The word “image” originated from a Latin word meaning “shape,” or “form.” Here “imago” does not mean a materialistic object but indicates an illusion or fantasy. In fact, art is an action from and to image.

Interestingly, when it comes to contemporary art, fantasy or illusion, which makes a link between materiality and idea, seems to lose its existential value. Jeoungeun Lim, however, is still seeing the phenomena created by illusion. Ironically the illusion in her art becomes a cornerstone, core, and essence of her art through light and its reflection and penetration.

 

   Numerous panels on the wall throw a party of lights and colors. Quasi-transparent patterns on the surfaces of glass panels occupy where the artist wants to design with light. Even though all the mystic colors come from the same source, the reflected colors and shapes generate a chorus of light and shadow. The artist creates ephemeral illusion on the wall by mixing artificial colors and light, and changes the images of the reflected illusion by adjusting position of light. The reflected images on the wall and the glass panels also transform themselves in accordance with the viewer’s perspective. Lim’s <Alice in Wonderland> is certainly good at playing with light. This artwork seems to be related with optical scientific experiments, but at the same time it makes a bridge to a sort of mysticism located beyond our vision. However, its mysticism is not from religious gaze, but from her pure desire to play with light and colors. This playfulness in her artwork is similar to that of the era when humankind was sentimental to light, which was even before we had a scientific approach

toward light. More realistic interpretation, however, is that her artwork is little more close to a game of shadow for children. She is just making further steps from this pure playfulness. This is where she can redefine orders of things around in her own pictorial language.

 

   Geometric gestalts engraved in the multi-layered mirror boxes are good examples of her overt attempts to redefine orders in space. Due to various afterimages caused by light infiltration, the resulting images soon become cubistic illusions. Theses images seem variable to outer conditions, but they are integral within their own structure. Lim’s work is not about orders in nature but about images that resemble the orders in nature. Her redefinition of image dares to tip the balance of the orders created by conventional perspective. If you feel vertigo in her work, you are already trapped in the labyrinth of her redefined images. Translator By Daehyung Lee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