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Critics

                                                                     

                                                                                                             "빛이 만들어 낸 이야기" 박영택/미술평론

 

 

   최근 판화개념이 무척 넓어졌다. 그렇게들 믿고 있다. 기존의 판화에 대한 고정관념이 붕괴되고 그 자리를 실험적인 작업들이 채우고 있다는 인상이다. 그러나 돌이켜보면 이 판화에 대한 개념은 훨씬 이전부터 다양하게 활용되었었다. 새삼스럽지 않다는 얘기다. 모든 시각이미지들이 이 판화적 요소에서 자유로운 적이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회화나 판화는 한결같이 그림에서 발생한 차이의 꼴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한다. 예술과 일상, 모든 영역에 걸쳐 수행되고 있는 것이 다름아닌 판화적인 것들이다. 이처럼 다앙하게 활용됐던 판화 기법은 전시장에 걸리는 예술작품으로서의 판화로만 제한되면서 이전의 판화적 요소들을 지니고 활용됐던 것들은 배제되었던 것이다.액자에 넣어 갈수 있는 작품으로만 판화가 협소하게 강제되었던 것이 그간의 사정이다. 지금 판화의 확장은 이전의 일상의 영역에서 이루어지던 지점을 새삼 환기시키는 편이다. 사실 오늘날 우리들의 일상적 삶에서 그 판화적 요소들은 넘쳐난다. 판화는 자체의 고유성, 즉 판화만의 아름다움 그 자체로 닫혀지지 않는다는 얘기다.

 

   임정은은 유리를 이용한 판화작업을 선보인다. 유리에 모래치기를 이용한 일종의 판화 작업이다. 아쿼틴트기법과 유사한 이 모래치기는 스프레이에 의해 톤맛을 살려내면서 그 농도에 의해, 입자의 산포에 따라 다앙한 맛들이 전개되는 편이다. 유리는 다루기 까다로운 재료이다. 두께가 1cm되는 판유리를 가지고 마치 색종이 접기 놀이를 하듯 다양한 사각형의 꼴들을 그리고 있다. 정확히 말하면 모래치기 기법(유리에칭)으로 형태를 만들고, 색을 입히는 공정이 그것이다. 유리의 앞뒷면을 모두 이용해 사각형꼴을 자유로히 변형해서 보여주고 있는데 그 사각형은 이 작가의 작업에서 상당히 근원적인 것으로 움튼다. 90년의 전시 역시 사진에칭을 통한 입방체 그림이었다. 작가에게 있어 이 입방체, 큐빅은 은유로서의 세계상이다. 그것은 한 개인의 거주의 공간, 방, 혹은 사회, 일상적 세계를 나타낸다. 사각형에 작가의 일상을, 느낌을, 감정을 집어 넣는다. 생활공간에서 일어나는 이야기들이 그속에 깃들어 있는 것같다. 기하학을 통해 흔적을 남기고 있다. 사각형에의 집착은 나름의 강박을 보여주기도 한다. 그것은 완벽함, 은밀한 공간에서의 보호와 안락, 엄격성, 정신적 충일들이 혼재된 것이다. 이성을 바탕으로 조형의 명확함과 질서를 구성하고 구축하는 이 순수한 형태의 갈망은 정신성을 바탕으로 사물의 본질에 접근하려는 기하학적 추상작업을 연상시킨다. 사실 유리 자체가 기히학적이다. 이 작가는 유리라는 재료를 통해 기하학적 이미지를 빛과 함께 보여주는 것이다.

 

   유리의 앞뒷면을 달리 장식해 투명한 아크릴판에 끼워 좌대에 올려놓은 이 작업은 보는이의 시선을 모두 허용한다. 작품을 둘러보면서 투명한 속내를 들여다보게 되어 있다. 몇겹으로 포개진 내부는 유리창을 통해 건너보는 느낌을 준다. 혹은 사각형의 다채로운 꼴이 모래치기 기법으로 안착된 유리판을 벽면에 부착시킨다. 그 위로 조명이 비추이면 벽면에는 아름다운 색그림자가 떨어진다. 흰벽 위로 색그림자가 떨어져 본래의 형태, 색과는 또다른 맛을 보여준다. 사각형의 꼴들이 빛을 받아 벽면에 떨어지면서 이루워내는 색그림자들은 화려한 빛을 발산하면서 공간을 입체화 한다. 작품은 주변 공간과의 관계속에서, 그림/그림자와 함께 놀이 하면서 이루어진다. 색그림자가 떨어지는 벽면 공간은 확장된 공간의 착각을 야기 하면서 보는이의 시선의 이동에 따라 무한한 조형적 체험 또한 부추혀 준다. 실재의 상을 관통해서 이루어지는 그림자는 허상이다. 그러나 그 허상은 단지 허구적인 이미지는 아니다. 그렇다고 실재의 상도 아니다. 그것은 실재와 허구 사이에서 둘다를 충족시키면서 놀이한다. 작가는 유리, 거울, 창 혹은 금속의 표면 등에 비추이는 상들에 관심을 표명한다. 거기에 비친 상들을 보여준다. 그것은 기묘한 이미지들이다. 작가는 󰡒Escher󰡓의 작품을 좋아한다고 했다. 유리구슬에 비친 방안의 모습, 그 구슬을 들고 있는 사람, Escher의 작품말이다.

 

  본래의 유리색과 모래치기를 통한 간유리색 및 블루의 색조로 인해 몇 개의 층 위로 올라오는 투명한 맛들은 깔끔한 스테인드글라스나 유리공예를 연상시킨다. 사각형, 큐빅등의 엄격한 기하학적 느낌과 어울려 상승하는 느낌은 투명하다는 것이다. 엄격함과 투명함이 작업의 특징이다. 그리고 거기에는 디자인적 간명함도 들어가 있다. 유리, 거울 역시 즐겨 등장한다. 그것들은 사물을 비춰준다. 표면에 반사되어 보이는 상들에 관심이 있는 작가는 창을 통해 보이는 풍경, 혹은 매끄러운 표면에 투영되는 상들을 포착한다. 그것을 메조틴트로 옮기고 그 위에는 모래치기를 통한 기하학적인 형태를 만든다. 번지는상, 비추이고 굴곡진 이미지에 관심이 있다는 것은 그것이 실재는 아니면서도 이미지를 보여주기에 그렇다. 깊이를 가진 환영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평면적이다. 깊이는 오직 전경에서 나타난다. 반사면 역시 그렇다. 사실 도시란 거울에 비추인 상들로 이루어졌다. 수 많은 창과 유리들이 서로를 비쳐주고 비쳐보여준다. 도시에서의 삶, 체험은 이렇듯 사각형의 창, 유리속에 비추인 자신의 모습과 그 너머로 비치는 세계의 상에서 연유하는 감정들로 이루어진다. 이를 작가는 유리를 통한 사각형의 변주작업을 통해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A STORY OF THE LIGHT"       Park, Young Taik / Art Critic

 

 

  The modern concept of prints has become very vest. Traditional idea of prints has been replaced to new experimental work. In matter of fact, such a phenomenon is not new. Artists has continually applied various ideas to adjust the concept of prints. Cause all visual image have been completely independent from the restrictions of prints. Different of painting and print comes from just artist's individual expression by different forms of art. Our daily life is the element to compose print works. Such various world of print has been limited its potentiality by the typical way of exhibition-"in frames". By reverse, it is now to apply the field of print variously from variously from various our daily life which would be the way to find print's own identity.

 

  Artist JeoungEun Lim presents us her glass print works. She uses the tectnic of sandblasting on glass. The technic of glass etching, similar to the technic of aquatint gives different tones using a spray and offers various texture following the dispersion of particles placed on the paper. Glass is a very difficult material to deal with. With glass, l cm thick, she freely draws different cubic forms as if doing orogami with a sheet of paper. With the help of technic of sandblasting; glass etching she creates forms and then color them. Using both front and back surfaces of glass, she metamorphoses freely the original cubic form. Her exhibition in the  90 were also photo etchings. For artist Lim, The cube is a metaphor of the vision of the world. She expresses her feeling and emotion in her individual inhabiting space, room, society, meaning our living space. Different stories happening in our everyday life reside in her cubes. She leaves traces using geometry, and her obsession for cubic forms has its own tonality. Perfection, protection, comfort and a certain severeness reside altogether in her cubic world.

 

   Her glass plates worked on both sides and then placing them between plexiglass, permit all possible vision to spectators. Walking around the work, you can look inside this transparent inner world of glass. Its inside piled up with several surfaces gives impression of looking through the window. For some works, she directly hangs these sandblasted on glass on the wall and with the lighting coming from the ceiling, creates beautiful colored shadows on the wall. These color shadows on the white wall give sensation so different from its original form and color In its relation with surrounding space, her work plays permanently with the relation picture-shadow. The shadow produced by passing through the object of real corporeal entity is false but not its image neither form of real existence. Her picture - shadaw plays satisfying both read and false world. Various forms are reflected on surfaces of glass, mirror, window and metal. The artist Lim admires  Escher , the sight of the room reflected on a glass ball, a man holding a glacs ball in his hand.

 

  Transparent and blue toned glasses worked with sandblasting technic and the escalading forms remind us of stained glass or glass works. With its severe geometric feeling given by cubic forms, the transparency of her work are primary characteristics of her work. We can also find the charm of simplicity in its design. Glass and mirror so frequentry appearing in her work, reflect objects. The artist attracted by the reflected forms on the surface, captures its images appeared using the teschnic of mezzotint and sandblasting to create her own geometric images. The reason why she‘s so much interested in spreading and reflecting images is that they show lmages not being real. Inspite the profound illusion it, glves us, it’s in one place in reality. In fact, the city we are living in is composed of reflected images in the mirror. Numerous windows and glasses reflect one another and show its reflected images. Life and experiences in the city originate from the images produced by cubic windows, reflections of oneself in the mirror and the world seen through the mirror. The artist Lim shows us her own cubic variations with her glass work..

bottom of page